31.jpg

이시무(李時茂)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으로 판결사 직(職)을 수행했으며, 광주(廣州)에 기거했으니 지금의 강동구 사람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나이가 60세가 넘은 이시무는 자신은 질병이 있어 사실상 전장(戰場)에 참가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그의 아들 정립(廷立, 병조참판)이 임금을 수행할 때에 부친은 늙고 병이 있다는 실정을 애절하게 진술하니, 왕은 고향에 돌아가서 몸조리를 잘 하라고 특별히 허락하였다. 이것 또한 아들이 지극한 효성으로써 임금을 감동시킨 까닭이다.

판결공은 임금을 수행하는 그 아들을 눈물로 보내면서

"신하된 사람이 의를 위하여 순절(殉節)하는 것은 본분에 당연한 것이다. 어찌하여 순절한 집의 자손들은 반드시 나라에 보고하여 정려(旌閭)를 받으려 하며 이를 비문에 새겨서 후세에 자랑하려 하는가? 지금 내가 선산(先山) 밑으로 피난가지만 그곳은 깊은 골짜기도 아니며, 또 서울과 가까운 곳이다. 더구나 나는 국왕의 신하로 일반백성과는 다르니 만일 후일에 갑자기 왜적을 만난다면, 적들은 반드시 항복을 받으려 할 것이고, 나는 스스로 목숨을 바칠 것이니 너는 후일에 나의 사실을 부디 나라에 알리지 말고 또 비문에 새기지 않게 하라“ 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작별하고 가족들을 데리고 선산이 있는 곳으로 들어갔다.

그곳은 광나루의 남쪽으로 집 뒤에는 산기슭이 가파르게 솟아있고 위에는 편편한 대가 있으며 한강이 가로질러 있다.

공은 그 대(臺)를 ‘첨신(瞻宸)’이라 부르고, 그 마을을 ‘우모골(廬幕谷)’이라 이름 붙였다. 여기서의 ‘우모’는 산소 가까이 있어 부모를 사모한다는 뜻이다. 첨신은 임금께서 행차하신 곳을 바라보는 뜻이다. 날마다 이른 새벽에 조하(朝賀)때 입던 예복(禮服)인 조복(朝服)을 입고 산대에 올라 북쪽을 향하여 네 번 절하여 임금을 수행하는 일을 대신하는 심정을 나타내었다.

같은 해 2월 열여섯 명의 왜놈들이 군복차람으로 이시무가 대를 올라오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가 항복을 하라고 위협했다. 공은 큰 소리로 “조선의 대신으로 섬나라 오랑캐에게 항복하느니 차라리 죽음만 못하다”고 왜적을 꾸짖어 소리가 산 밑에 본집까지 들렸다.

가족들은 모두 놀라서 허겁지겁 산대 동쪽까지 올라 언덕 숲 사이에 숨어 공이 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는 왜놈의 겁탈을 피해 모두 강물에 뛰어 들어가 죽음을 택하기를 자기집에 돌아가는 것처럼 하였다.

이때 공을 따라 죽은 사람은 공의 부인 전주 이씨 의원군(義原君) 억(億)의 딸과 차남(次男)의 아내 경주 김씨, 공의 손자(孫子) 여산 군수 현담의 아내 광주 안씨 광양군(廣陽君) 황(晃)의 딸과 아직 출가하지 못한 손녀인데, 손녀의 시신은 끝내 찾지 못해서 그 후에 이 집안에서는 암사강의 물고기를 먹지 않는다.

이밖에도 차남 정견(廷堅)이 더 있다. 공을 따라 갔다가 공이 화를 당할 때 적의 창에 찔려 땅에 쓰러졌다가 적이 물러난 후에 요행히 다시 살아났으나 여러 장례를 치르고 난 지 석 달 만에 창독(瘡毒)으로 인해 죽었다.

충신의 집안에서 줄줄이 효자와 효부에 효손까지 나왔으나 하루에 다섯 사람이 죽고, 뒤따라 또 한 사람이 죽어 일문육상(一門六喪)을 당하니, 나라에서 이들을 기리기 위해 이시무의 뜻과는 달리 정문(旌門) 건립의 명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