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청사(國淸寺) 우물에 얽힌 전설
옛날 둔굴 가까이 오금동에 이집(李集)이 살고 있었다. 그가 아직 장가를 가지 않았던 총각 시절에 그의 아버지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커다란 종기가 등에 나서 고생을 하고 있었다. 너무나 종기가 크기 때문에 걷지도 못함은 물론 똑바로 누워 있을 수도 없어서 고생이 막심했다.
별의별 약을 다 써보아도 효험이 없는지라 근심은 날로 더 해 갔다. 효심이 지극한 이집은 가난한 살림살이에도 아버지의 병간호를 위해 있는 어느 것도 아끼지 않고 나름의 정성을 다했다.
“애야, 내일부터 목욕을 재계하고 국청사 절에 가서 백일기도를 드려라. 그러면 아버지의 병을 고칠 것이니 그리 하거라.”
신선은 홀연히 사라졌다. 잠을 깬 이집이 생각해 보니 예사 꿈이 아닌 것 같아 이튿날 새벽에 일어나서 목욕을 하고 마을 뒷산에 있는 절에 가서 백일기도를 드렸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열심히 기도를 드린 것이 어느덧 백일이 거의 끝나갈 무렵이었다. 그날도 새벽 찬 이슬을 맞으며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고, 집으로 돌아오던 이집이 무심히 어느 바위를 바라보니 바위틈에서 물이 졸졸 흐르고 있었다. 그래서 세수도 할 겸 물도 먹으러 가까이 다가갔다. 바위틈에 입을 대고서 물을 마시던 이집이 샘물을 들여다 보니 금붕어 한 마리가 있었다. 하도 신기해서 금붕어가 노는 모양을 한참 들여다 보던 이집은 소중히 금붕어를 잡아서 집에 가지고 와 기르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날 밤이었다. 한밤중에 잠이 깬 아버지가 목이 하도 말라서 물을 먹고 싶었지만 곤히 자는 아들을 깨우기도 안 되었고, 그렇다고 물을 뜨러 밖으로 나갈 수도 없는 몸이고 하여 그저 꾹 참고 있었다.
그러나 더 이상 참을 수가 없는지라 아버지는 금붕어가 들어있는 그릇의 물을 마셔 버렸다. 그러자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등에 난 종기가 확 터지면서 피고름이 콸콸 쏟아지고 나서 시원해진 것이다. 아버지는 엉겁결에 아들을 깨웠다.
“애야! 내 등 좀 봐다오. 고름이 흐르는 것 같더니, 아픈 것이 확 가셔버렸구나.”
“어떻게 하셨는데 그래요?”
“저 금붕어가 들어 있는 물을 마셨더니, 그렇구나.”
아버지의 등에 흐르는 고름을 닦으면서 이집은 생각에 잠겼다. 꿈속에 나타났던 신선의 말대로 백일기도를 한 까닭에 아버지의 병이 낫게 된 것이다.
“애야! 저 그릇에 물이 없으니 우물물이라도 채워주려무나.”
“아참, 그래야 되겠군요.”
이집이 부엌으로 나가서 독에 있는 물을 퍼다가 그릇에 넣으니 이상하게도 금붕어의 빛깔이 검어지는 것이었다.
“정말 이상한 일이로구나.”
이집과 그의 아버지는 다시 한 번 놀랐다.
“애야! 저 금붕어를 어디서 가져왔느냐? 아마도 금붕어가 있었던 물이 영험이 있나보다.”
“절 근처에 있는 조그마한 샘에서 잡은 거예요.”
“그러면 날이 새는 대로 그 물을 떠 오너라.”
오랜만에 희색이 만면해진 아버지와 아들은 밤이 새도록 기쁨을 주고받았다.
이윽고 동이 터오자, 집을 나선 이집은 큰 그릇을 가지고 한 달음에 샘으로 달려가서 물을 떠왔다. 곧 붕어가 들어 있는 물을 비운 다음 새로 길어온 물을 채우니 이상하게도 붕어의 빛깔이 다시 황금색으로 변하는 것이었다.
“과연 그 샘물이 영험이 있는 약수로구나. 어디 내 등에 좀 발라 봐라.”
이집은 샘물을 아버지의 상처에 발랐다. 그러자 상처가 서서히 아물기 시작했다.
“어 시원하구나. 어디 한 모금 마셔 보자.”
이렇게 해서 이집의 아버지는 병이 완전히 나았다. 그 후 이 소문은 꼬리를 물고 널리 퍼지자 각처에서 피부병 환자가 몰려들었다. 이 샘물은 근처에 국청사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에, '국청사 우물'이라고 불렀다.
오늘날 1935년에 둔촌동 산 82번지에서 발견된 탄산과 철분이 다량으로 함유한 양질의 약수인 둔촌 약수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