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jpg  

‘도미설화’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列傳)> 즉 많은 사람의 전기(傳記)를 차례에 따라 기록한 부분에 소개되어 전한다.

도미는 백제 사람이었다. 비록 벽촌(編戶) 소민(小民)이지만 의리(義理)를 알았으며, 그 아내는 아름답고도 절행(節行)이 있어 주변사람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했었다. 백제 개루왕(蓋婁王)은 이 소문을 듣고 도미를 불러

“무릇 부인의 덕은 정결(貞潔)이 제일이라 하지만, 만일 어둡고 은밀한 곳에서 교묘한 말로 꾀면 넘어가지 않을 여인이 없는 법이다”

라고 하니

도미가 대답하기를

“사람의 마음은 헤아릴 수 없으나 소신의 아내는 죽더라도 마음을 고쳐먹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처(妻)에 대한 깊은 신뢰를 공손히 아뢰었다. 그러자 왕은 도미의 부인을 시험해보기 위해 도미를 궁궐 안에 머물러 있게 한 후, 신하 중 한 명을 왕처럼 옷을 입힌 뒤 말에 태우고 몸종을 딸려 밤에 도미의 집에 가게 할 요량으로 먼저 사람을 보내 도미의 아내에게 왕이 올 것임을 기별케 했다.

이후, 가짜 왕이 도미의 집에 도착해 도미부인에게

“내가 오래 전부터 너의 아름다움에 대해 듣고, 네 남편과 내기장기를 두어 내가 이겼다. 내일은 너를 왕궁으로 데려가 궁인으로 삼으려 한다. 그러니 이제 너의 몸은 내 소유다. 오늘 밤을 함께 맞을 것이다”

하며, 가짜 왕이 부인에게 성큼 가까이 다가가려하자, 부인이 말하기를

“국왕께서 망령된 말씀을 하실 리가 없사온데, 어찌 제가 감히 순종하지 않겠습니까. 청하옵건대 대왕께서는 먼저 방으로 들어가소서. 곧 옷을 갈아입고 들어가 모시겠나이다.”

도미부인은 물러나와 미모의 몸종을 곱게 단장시켜 대신 들어가 수청을 들게 하였다.

후에 왕이 도미부인의 꾀에 속은 사실을 알고 격노하여 남편 도미에게 도미부인의 죄까지 씌워 두 눈을 뽑은 뒤, 조각배에 실어 강물에 띄워 보냈다. 그리고 그 부인을 데려다 다시 강제로 범하려하자, 부인은

“저는 이제 남편을 잃은 몸이 되었습니다. 이제 혼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되었으나 오늘 황송케도 지엄한 분을 모시게 되었으니, 어찌 감히 거역하겠습니까. 하오나 지금은 월경(月經)으로 몸이 더럽사오니, 다른 날에 목욕재계하고 오겠나이다.”

왕이 이 말을 믿고 허락하였다.

부인은 그 길로 도망쳐 강가에 이르러 땅을 치며 통곡하였다. 그때 어디서 조각배 한 척이 떠내려 와 급한 김에 부인은 그 배를 탔고, 그 배는 신기하게도 천성도(泉城島)에 이르러 멈춰 배에서 내려 땅위에 발을 딛었는데, 거기에 그동안 애만 태우며 그리던 남편이 있었다.

비록 앞을 보지 못하는 처지가 되어 있었지만, 남편은 죽지 않고 살아 있어 그때부터 부인은 남편 도미의 눈이 되어 보살피면서 풀뿌리로 겨우 연명하며 지내다 배를 타고 고구려의 산산(蒜山) 아래로 가니, 고구려 사람들이 이들 부부를 불쌍히 여겨 옷과 먹을 것을 대주어 근근이 살다 일생을 마쳤다.

이 설화는 위에서 살핀 바를 종합해 판단할 경우,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을 부여받아 생존하다 예외 없이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는 만큼 동일한 운명 즉, 비극적 존재임을 함축해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설화라기보다는 문학작품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도미설화를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자기네 고장의 설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충남 보령시에서는 1991년에 소책자《보령의 도미설화》를 발행하고, 1992년에 정절각(貞節閣)과 1994년에 도미부인 사당인 정절사(貞節祠)를 만들고 2003년에는 도미와 도미부인의 합장묘(合葬墓)까지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보령의 도미설화》는 위작(僞作)한 이야기로 판명이 났다.

또 경기도 하남시에서는 도미진(渡迷津)이 지역 안에 있다는 사실로 2009년 10월 하남문화원에서 제1회 ‘도미설화 학술대회’까지 개최하며,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하남 위례성이 하남시 춘궁동(春宮洞)이 아닌 송파구 풍납동(風納洞)이라는 역사학회의 주장을 근거로 고찰해 보면, 지리적 거리로 보아 도미진(渡迷津) 설화는 설득력이 없다. 그리고 도미진과 두미진(斗迷津)은 같은 장소인데, 도미(都彌)와 음이 같을 뿐 상관성은 없다.

그러나 서울 강동구 암사동 두무개는 도미와 음상(音相)이 똑같아 가장 설득력이 있다. 도미전설은 초기 백제의 왕경(王京)인 풍납토성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어 삼국사기에 나오는 도미설화와 부합한다. ‘두무개’에는 토막나루가 있어서 도미부인이 배를 타고 떠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다. 암사동을 중심으로 구전(口傳)으로만 전해오는 도미부인을 기리기 위해 강동구에서는 2004년 3월 20일 천호1동 천일공원에 ‘도미부인상(都彌夫人像)’을 건립하였다. 그후 동상(銅像)의 무게가 무거워 천일공원 지하주차장 붕괴를 예방하기 위하여 2009년 10월 천호2동 472-2 녹지공원으로 이전하여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