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jpg

 

1370년(공민왕 19년)~1422년(세종 4년) 박은의 자는 앙지(仰之)이고, 호는 조은(釣隱)이며, 시호는 평도(平度)이다. 그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고려 말의 학자인 판전교시사 박상충(朴尙衷)의 아들이며, 이곡(李穀)의 외손으로 전법판서 주언방(周彦邦)의 사위이며, 어효첨(魚孝瞻)의 장인이다.

박은은 15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문음(門蔭)으로 판숭복도감사를 받은 뒤, 1385년(우왕 11년) 문과에 2위로 급제하여 권지전교시교감, 후덕부승을 거쳐 1391년(공양왕 3년)에 통례문부사, 이듬해에 개성부소윤이 되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된 뒤에도 지금주사(知錦州事)가 되어 고과(考課)에 정최(政最)의 성적으로 좌보궐에 서용되고, 1394년(태조 3년) 지영주사로 있을 때 이방원(李芳遠)에게 충성을 다할 것을 약속하였다.

1397년 사헌시사를 거쳐 이듬해에 발생한 무인정사(戊寅靖社), 즉 제1차 왕자의 난 때에는 지춘주사로서 방원의 집권을 위하여 지방군사를 동원하였다. 이어 사헌중승, 판사수감사를 지내고 1400년(정종 2년) 지형조사로 있을 때 발생한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역시 방원을 도와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방원이 왕세자가 된 1400년에는 세자좌보덕으로 그를 보필하고, 좌산기상시에 오른 뒤 1401년 태종의 즉위 후 중용되어 형조․호조․병조․이조의 4조 전서를 두루 역임하고, 좌명공신 3등으로 반남군(潘南君: 뒤에 潘城君)으로 봉하여졌다. 그 뒤 강원도도관찰출척사, 한성부윤, 승추부제학을 역임하고, 1406년(태종 6년)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는 제주도의 동불(銅佛)을 구하러온 명사(明使)를 예의로 잘 접대하여 칭송을 받았으며, 이듬해에 진향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참지의정부사 겸 사헌부 대사헌에 올랐다. 이어 형조판서에 옮겼다가 1409년에는 서북면도순문찰리사 겸 평양부윤으로 평양성 축성을 마쳤다.

1412년에는 관향인 반남이 나주에 속하게 되어 금천군(錦川君)으로 개봉되었으며, 겸판의용순금사사가 되어 옥무(獄務)의 신장정수(訊杖定數)를 1차 30인으로 정하여 합리적인 형정제도를 시행하였고, 1414년 이조판서 때에는 고공(考功) 행정제도를 개선하였다. 이듬해에는 47세의 나이로 우의정이 되어 소년입각의 예에 들게 되었으며, 이어 부원군으로 진봉되고 좌의정 겸판이조사에 올랐다. 충녕대군(忠寧大君)이 세자로 책봉될 무렵부터 심온(沈溫)과 대립되어 1418년(세종 즉위년) 심온의 옥사 때에는 심온의 반대되는 입장에서 관여하였다는 세평을 듣고 있다. 1421년 병으로 좌의정을 사직하고 이듬해에 죽었다. 문과 초시에서 강경(講經)을 채택하도록 강경히 주장하여 시행하도록 하였으니, 초시에 제술(製述)을 주장하는 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의 학통과 다르다.

박은이 강동 지역에 묻힌 것은 부친 박상충의 매부인 광주 안길상의 연고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